-
반응형
1.종양의 정의
종양 : 세포의 비정상적인 성장. 혈액의 흐름이나 림프관을 통하여 체내 어디든지 전이할 수 있다.
종양의 자율성 증식(원인을 제거해도 증식능력을 상실하지 않음)
①양성종양 : 원인으로 기생충, 세균, 곰팡이, 구리, 코발트
②악성종양 : 흔히 암이라고 한다. 원인으로 장흡충, 오토-포스포 타이로신
피부와 점막 양성종양 : 유두종 (선) 양성종양 : 선종 혈관 악성종양 : 혈관육종, 맥관육종
2.종양의 육안적 발육형태
① 외생장성 발육
- 세포 표본 상에서 배경의 깨끗하다.
② 내생장성 발육
- 여라가지 종양소인들이 나타나 지저분한 배경을 나타낸다.
③낭성형
- 액질로 채워져 있는 점액성 종양, 혈청과 비슷하게 묽은 수용성 액체로 채워져 있니 장액성 종양이 있다.
④사마귀형
3.종양의 형태 발생
berenblum의 2단계 : 1단계 개시 2단계 촉진
이형성 세포 변화 → 퇴화 또는 상피 내 암종(CIS)으로 변화
※상피내 암종 : 상피 기저막을 뚫지 않고 상피 내에만 머물러 있는 암종, 암발생 초기 단계로서 국소적으로 진행되어 침윤성 암으로 된다.
4.종양의 조직학적 구조
- 실질세포와 간질 혹은 기질로 구성
실질 : 지지조직 또는 결합조직과 구별되는 기관의 기능적인 조직으로 증식성 종양세포로 형성되어 있어
성장에 주도적인 역할.
기질 : 결합조직, 혈관, 림프관으로 구성. 종양세포 사이를 지지, 결합해 주고 영양을 공급해 주는 역할.
5.종양의 분류
①양성종양
- 일반적으로 단순한 혹으로써 일종의 사마귀같이 국소의 세포가 전체로부터 분리되어 증식.
- 특별한 문제가 없으면 절제 안한다.
- 수술을 해서 완전절제 하면 재발하지 않아 예후가 좋은 편이다.
- 한정된 공간에서 자라거나 완전절제를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악성으로 변함
- 정상적인 주위 조직과 비교적 명료하게 경계가 있다.
- 피막을 뚫고 전이되는 일이 적고 원격전이 드물다.
②악성종양
- 암
- 신체의 어느 부위에나 유착하고 그 부위를 완강하게 꽉 붙잡고 있는 것 같음
- 상피성 기원종양인 경우 암종, 조직 기원인 경우 육종
- 피막이 없고 통제되지 않고 분열, 형태, 모양 및 성질이 정상세포와 다르다.
- 종양세포 자체는 운동성이 없기 때문에 혈류나 림프관을 통하여 주위 정상적인 조직과 장기를 침범하여 그 주변 조직까지 파괴하는 침윤성이 있다.
- 침윤성은 피막이 없기 때문에 쉽게 일어나며 종양세포를 완전 제거하려면 주위의 정상조직을 충분히 포함해서 잘라내야 한다.
- 대사가 빨리 일어나고 많은 영양과 산소가 필요하니까 주변에도 혈관을 받음
○ 암종
- 신체의 먼 곳까지 전이되는 악성상피세포종양으로 피부, 대장, 폐, 위, 전립선, 자궁경부, 유방 등에 주로 발생.
- 침윤성 발육을 나타내는 한편, 림프행성이나 혈행성으로 장기에 전이를 형성하는 성질을 가진다.
- 암에서 나오는 독소가 문맥을 통하여 체내에 흡수, 간의 기능을 저하시키고 악액질을 일으켜 그 개체를 사망시킨다.
(악액질 : 전신이 쇠약해짐과 동시에 빈혈로 인하여 피부가 황회색을 띠고, 눈꺼풀 및 하퇴에 부종이 나타나며, 피부의 색소침착을 일으키는 상태를 말한다.)
○육종
- 골성종양과 연조직 종양으로 나누어지는데 골성 종양이 더 흔하다.
- 육종의 40%는 하지에서, 20%는 상지에서, 20%는 몸통에서 나머지는 목 또는 후복강에서 발생.
- 가장 흔한 것은 골육종으로 골의 악성 종양으로 간엽조직에서 유래.
암종
육종
기원
상피성
간엽성 조직
생물학적 특징
악성
악성
빈도
흔하다
드물다
호발전이 경로
림프행성
혈행성
발병나이
50세이상 호발
50세미만 호발
성장속도
느리다
빠르다
○형태학적 특성
- 정상세포에 비래서 원형 난형, 다각형, 방추형 등 크기도 다양하며 형태가 불규칙
- 핵과 세포질의 비가 크며 정상세포는 1:4 또는 1:6이면 암세포는 1:1로 가까워진다.
- 핵의 크기와 모양도 다양 (핵의 다양성)
- 과염색성 (핵이 다량의 DNA를 함유 매우 짙게 염색)
- 빈번한 핵분열 (핵多)
○악성종양의 성장속도
- 대다수가 불규칙적인 속도 (종양마다 차이가 크다)
○종양 성장인자
- 호르몬의 의존성, 혈액 공급의 적당성, 숙주의 방어적인 면역반응
- 호르몬에 반응하는 조직들은 내분비 요소에 영향을 받게 됨
○악성종양의 전이
- 원발 부위에서 다른 부위로 전이 그러나 양성종양은 전이현상을 볼 수가 없다.
- 림프행성 전이, 혈행성 전이, 파종성 전이, 이식성 전이
①림프행성 전이
- 암종, 일부의 육종 이 경로로 전이
- 종양세포가 림프절의 림프동에서 증식하여 색전을 일으키고 림프행성으로 전이
- 유방의 경우 겨드랑이 림프절로 전이
- 다리피부의 악성 흑생종은 서혜림프절로 전이
②혈행성 전이
- 육종들이 전형적으로 이용하지만 일부 암종도 이 경로로 전이한다.
- 혈관의 벽을 뚫고 암세포들이 혈관을 따라서 다른 곳으로 이동한 후 폐나 간에 심한 색전증을
일으키거나 그곳에 침윤, 다시 성장.
- 간, 폐가 빈번한 2차성 침범부위.
- 정맥혈을 따라 암이 전파
- 부신 신경아세포종→ 두개골, 췌장암→ 골반내, 갑상선암, 전립선암→ 척추
③파종성 전이
- 체강 표면에 씨를 부려 놓은 것과 같이 암이 퍼져 있는 것
- 복강, 흉막강 같은 체내의 자연적인 공간 부위를 관통 했을때 일어남.
- 복강이 가장 빈번하지만 흉막강, 심낭, 지주막하 및 관절 간격들에도 침범
④이식성 전이
- 종양의 기계적 수송 (수술기구 등) 드물다.
○악성 종양의 조직발생학적 분류
- 종야의 90%가 상피성 종양이다
①상피성 종양
- 상피성 기원종양은 암종, 실질이 선상피, 편평상피, 이행상피 등의 상피성 세포에서 유래. 실질과 기질 구별됨
- 선종일 경우 선암종. 장,기관 등의 점막등에 발생
- 편평상피암종은 식도, 자궁외경부, 질등에서 발생 피부암의 하나.
- 자외선이 대표적. 인형유두종 바이러스에의한 발증
- 자궁경부암의 발병요인이다.
- 남성多, 연령↑ 환자수 ↑
②비상피성 종양
- 소아에게 많다 - 신생물의 5%를 차지
- 처음부터 혈행성 전이 - 암종보다 악성
- 기질이 될 세포가 종양화 뼈조직, 연골조직, 근조직, 신경조직, 섬유조직등에서 유래 실질과 기질이 밀접하게 혼합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의 특징
양성종양
악성종양
성장 양상
확장성
침윤성
성장 속도
느리다
빠르다
전이
없다
있다
재발
드물다
자주 있다
피막 형성
있다
없다
전신에 미치는 영향
약하다
강하다
세균분열
없거나 적다
많다
출혈
드물다
흔하다
괴사
드물다
흔하다
6.종양의 발생원인
- 식이 및 영양상태도 관여, 유전적인 소인이 중요한 영향
○환경적 요인
①화학 발암물질
- DNA 손상 폐암, 백혈병을 일으킨다.
- DNA 결합 구조 변화 피부암 및 간암을 일으킨다.
②방사선 발암인자
③종양 바이러스
- RNA 종양 바이러스 ATL(성인 T세포 백혈병 림프종)이라는 단 한 가지 종양만 유발
- 감염경로 : 모자간에 수유, 성교에 의한 감염, 수열
○유전적 요인
- 세포성 종양유전자 : 점돌연변이
- 바이러스성 종양 유전자
- 위암, 망막아세포종, 윌름스 종양, 가족성 대장 폴리포시스 등
○개인적인 요인
- 식이, 흡연(특히 씹는 담배-니코틴, 구강암), 술(췌장, 간, 유방암, 식도암), 성행위, 임신과 출산, 호르몬 문제
★(중요) 암의 7가지 경고 신호
- 장 또는 방광 습관의 변화
- 잘 치유되지 않는 염증
- 출혈, 분비물
- 유방이나 그 밖의 부위의 비후 또는 덩어리
- 소화불량, 연하곤란
- 사마귀의 뚜렷한 변화
- 잦은 기침이나 쉰 목소리
7.종양의 악성도와 병기
- 종양세포의 세포학적 분화(종양세포가 정상세포와 얼마나 닮았나 , 분열 핵의 수에 기초)
- 세포분열도는 양성 종양은 정상조직과 비슷한 세포분열상을 하고 악성 종양은 분열도가 높으며,
악성도와 분열도가 낮을수로 예후가 좋다.
- 구분 목적 : 치료의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을 줌, 치료의 결과들을 평가하는데 도움을 주며, 정보 교환을 용이하게 한다.
- 병기 결정밥법 : 원발암의 크기, 주위 림프절로의 확산 정도, 혈액성 전이의 유무등에 기초를 둔 TNM staging system
- 1~4기로 나눔
예외) 자궁암의 0기 → 자궁경부의 상피세포 내에만 국한되어 있는 경우
- 원발 종양의 크기 (T), 림프절의 전이 여부(N), 원 전이 여부(M₀~M₁)
○원발 종양의 크기
①T0 : 병변의 증거가 발견되지 않는다.
②T1 : 원발된 장기에 제한되 병변
③T2 : 인접조직으로 퍼진 국한된 병변
④T3 : 원발장기보다 퍼저있는 구역에 제한
○림프절 전이 여부
①N₀ : 병변의 증거가 없다
②N₁: 위치에 제한되어 있는 림프절
③N₂: 가동성이 있는 또는 단단하거나 딱딱한 림프절
④N₃: 완전이 고정 피막 통과.
8.조기암과 진행암
조기암이란, 주위조직을 침윤하기 시작한 암이라도 아직은 작은 범위이거나 침윤이 점막층에 국한된 암 상피내암(CIS)의 단계. 병기는 T0에 해당
예) 소형암 : 크기가 1cm 이하인 암
잠재성 암 : 임상적으로 확실치 않은 암
불현성 암 : 전이소는 발견(암의 존재 분명)되나 원발부위가 확실하지 않은 암
진행암은, 광범위한 전이를 하거나 상피층 이하로 깊숙이 침윤된 암
9.암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요인
- 한국남자 : 위암, 간암, 폐암순 한국 여자 : 자궁암, 위암, 유방암순
- 자외선 노출이 심한 사람은 피부암, 석면을 많이 접촉한사람은 폐암, 습관성으로 음주한 사람은 구강암, 인․후두암, 식도암, 간암에 잘 걸리며 흡연을 많이 한 사름은 폐암, 구강암, 인․후두암, 식도암, 방광암에 걸릴 확률이 높다
- 연령별로는 소아 백혈병, 뇌종양, 림프종, 골암 노인 폐암, 대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위암등이 많이 걸린다.
- 유전학적 요인은 가족성 폴립증 : 가족이 동일암에 걸릴 확률이 3배!
10.종양의 진단
○조직학적 진단
- 조직검체를 생검하여 육안적인 관찰을 통한 진단을 하는것
○세포학적 진단.
- 폐암, 기관지암, 방광암, 요도 및 생식기 암, 자궁경부암 등의 조기진단에 이용
①탈락세포학적 검사
- 병변, 객담, 분비물 등을 통해 얻어냄
- 자궁암과 폐암의 진단에 널리 사용
②흡인세포학적 검사
- 채혈하는 것보다 덜 고통스럽다.
③방사선에 의한 진다.
- 단광자방사형 전산화단층촬영, 양전자방사형 전산화단층촬영
④종양의 표지자에 의한 진단
- 혈액이나 조직, 배설물 등에서 그 물질을 검사하는 것으로 암진단이나 치료의 지표로서 도뭉이 되는것
암의 특정부위별 위험 요인, 검사, 조기발견 지침
부위
위험요인
징후와 증상
검사 유방
-병력 (장, 갑상선,
자궁내막, 난소, 유방)-고지방 섭취
-가족력
-이온화 방사능 노출
-조기 초경
-폐경 지연
-미경산
-30세 이후의 초임
덩어리,비후
부종, 유방 모양 변화 등
1.유방자가검사
2.임상검진
20~40세 3년마다
3.유방조영술
40~49세 1~2년마다
50세 이후 매년
결장과 직장
-결장직장 폴립
-고지방 식이
반응형'포로리 > 전공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기진통 (0) 2020.11.11 방어기전과 이상행동 (0) 2020.11.11 신세뇨관의 구조와 기능 (0) 2020.11.08 심근경색 ( Myocardiac infaction ) (0) 2020.11.08 [과제] 발표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3가지 요소 (1) 2020.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