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간호학] 간호사정
    포로리/전공관련 2020. 12. 6. 19:09
    반응형

    <사정의 유형>

    1.초기 사정

    2. 초점 사정

    이미 규명된 건강문제와 관련된 자료를 구체적으로 수집

    초기사정보다 좁은 관심을 갖고 짧은 시간에 수행

    대상자에게 필요한 간호 제공과 동시에 특별한 간호 문제를 사정하기도 함.

    3. 재사정

    초기사정이 수행된 후 일정시간 경과 후 이루어지는 사정

    새로운 문제 or 이미 규명된 건강문제의 변화 평가

    초기사정보다 포관적이지는 않음.

    4. 응급사정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재빨리 규명하고 중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A, B, C

    자기개면 장애(자살충동), 역할장애(폭력) 등 시 사정

     

    <사정 방법>

    - 관찰, 면담, 신체검진

     

    <면담법>

    1. 준비단계

    - 정보 검토, 자료 수집

    2. 도입단계 (오리엔테이션 단계)

    - 라포형성, 개방질문

    3. 유지단계 (작업단계)

    - 목표달성을 위해 수정, 표현 격려, 기술적 침묵, 평범한 대화로 시작, 확인 등 사용

    4. 종결단계

    - 재검토, 우려되는 점 표현, 요점과 의미를 알려줌, 표현 격려

     

    <신체검진>

    시진, 촉진, 타진, 청진을 이용하여 건강문제를 알아내는 체계적인 자료수집 방법

    1. 시진

    2. 촉진

    가벼운 촉진 : 손가락 끝 이용 ex) 피부온도, 습기, 비정상적인 덩어리

    심부 촉진 : 양손을 포개어 혹은 한속 이용 ex) 기관의 위치와 크기, 비정상적인 덩어리

    통증 없는 부위부터 촉진

    3. 타진

    장기의 구종와 성질에 대한 정보 제공

    특히 심장, , 폐 등 기관의 윤관석과 크기, 장기 내에 공기 or 액체가 있는지 파악

    직접 타진법, 손가락 타진법, 주먹타진법

     

    <손가락 타진법>

    - 좌측 중지를 과도신전 시킨 후 타진할 부위의 피부 위에 대고 우측 손목을 약간 위로 올리고 우측 중지의 손가락 끝을 좌측 중지의 중절골에 90도로 가볍게 친 다음 빨리 뗌.

    - 한 부위에서 1~2회 친 다음 이와 대칭되는 곳을 타진

     

    4. 청진

    직접청진(호흡음, 관절음), 간접청진(장음, 폐음)

    청진기 (원판형-기관지음 고음, 1심음, 2심음 종형- 3심음 같은 저음)

     

    <청진 음의 종류>

    - 소리의 고저 : 진동의 빈도(초당 진동 횟수)인데

    심음-저음, 초당 진동수 적음, 기관지음-고음, 초당 진동수 많음

    - 소리의 강도(진폭) : 기관지음-큰소리, 기관지폐포음-부드러운 소리

    - 소리의 장단 : 짧고 긴 범위

    - 소리의 특성 : 꾸룩소리, 탁탁소리

    <자료의 유형>

    - 주관적 자료 : 증상 or 내현적 자료, 종종 객관적 자료를 통해 명백히 함.

    - 객관적 자료 : 징후 or 외현적 자료, 관찰과 측정이 가능한 자료, 검사를 통해 얻어짐

     

    <자료의 조직을 위한 모형들>

    - 신체기관모형

    - 건강기능양상 : 건강지각-건강관리, 영양-대사, 배설, 활동-운동, 수면-휴식, 인지-지각, 자아지각-자기개념, 역할-관계, -생식, 스트레스-대처, 가치-신념 양상의 11가지로 구성

    (장점: 힘과 능력을 구명할 수 있음, 초점이 간호진단에 있음, 분류가 간단, 자료수집이 쉬움, 모든 대상자의 기초사정 자료 파악 가능)

    - 인간-환경 상호작용 양상 : NANDA, 9가지 양상으로 구분

     

    <건강기능 양상별 사정>

     

    <영양-대사 양상>

    1. 신체계측

    - 중상완둘레(MAC) : 신체의 지방과 근육의 상태평가, 비우세 상박의 중간 지점 측정

    - 삼두박근 피부두께 : 신체 지방량 반영, 상박의 중간지점의 근육두께를 캘리퍼로 측정

    - 상완근육둘레 : 골격근육상태 반영, MAC로 계산

     

    2. 피부

    모세혈관충만시간 검사(blanch test) : 말초순환

    - 곤봉형 손톱(장시간 저산소 증), 보씨 선(심한 질병시 손톱에 횡선), 열편출혈, 숟가락 형 손톱(철 결핍성 빈혈)

     

    3. 복부

    - 시진-청진-타진-촉진 순서

    (촉진으로 인한 장운동 영향배제)

    4분원 : 수직 : 검상돌기에서 치골결합, 수평 : 배꼽

    RUQ : , RLQ : 맹장, 충수돌기, LUQ : 비장, , LLQ : S자상 결장

     

    <청진>

    - 식사 4~6시간 후에 회맹판부위에서 가장 잘 들림

    - 복막 자극이나 염증 시 장음 감소, 마비성 장폐색 장음이 거의 안 들림.

    - 복부마찰음 : 간이나 비장이 복벽과 마찰 시 발생하는 것, 가죽 비비는 소리

     

    <타진>

    우선 복부 전체 가볍게 타진

    - 우상복부 통증 : 십이지장 궤양, 간염, 간 비대, 폐렴

    - 좌상복부 통증 : 파열된 비장, 위염, 대동맥류, 천공된 결장, 폐렴 등일 때

    - 우하복부 통증 : 충수돌기염, 난관염, 대동맥류, 자궁외 낭종, 파열된 자궁의 임신, 신결석, 요결석, 압박으로 혈액공급이 안되는 탈장, 맥켈씨 게실류, 게실염

    - 좌하복부 통증 : 장폐색, 급성췌장염, 초기 충수돌기염, 장간막 혈전, 대동맥류, 게실염

     

    충수돌기염

    - 배꼽 주위, 우하복부 국소적 복통, 근육경직, 반동압통

    - 파열우려, 반복 촉진 X

    - 좌측 복부 압박시 mcburney's point 통증(Rovising's sign)

    - 한다리를 다른 다리 위에 올려놓고 손으로 누르면서 다리 올리면 요근 자극,

    통증(psoas's sign)

    - 무릎을 구브리고 대상자의 우측 고관절을 굴곡시킨 다음 다리를 내회전과 외회전을 시킬 때 통증(obturator sign)

     

    <활동-운동 양상>

    간호진단 : 활동지속성장애, 자기간호결핍, 비효과적 기도청결, 비효과적 호흡양상, 가스교환 장애, 심박출량 감소 등

    일상활동 동작 : BADL(자가간호 능력, 간단한 운동능력), IADL(가정관리 유지능력)

    - 상위운동신경원 장애(CVA편마비): 경직성 마비, 하위운동신경원 장애(소아마비) 이완성마비

    근육강도 : 대칭적으로 검사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