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로리/전공관련

킹의 목표달성이론 (가정과 명제)

P0R0RI 2020. 11. 8. 09:41
반응형

1. 가정

 

간호의 초점

개개인을 건강한 상태로 유도하는 인간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 즉, 사회적 역할을 할 수 있게 하는 능력이라는

전반적인 가정에 기반

 

◎ 간호

사회의 건강관리 체계에서 발견되는 관찰 가능한 행동이다

 

간호의 목표

개인이 자신의 건강을 유지하여 자신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것

 

인간

개인은 영적인 존재

개인은 생각하고, 알고 선택하고, 보완적 행동 과정을 취할 수있는 역량이 있다.

개인은 자신의 언어와 다른 표시 등을 통해 자신의 역사를 기록하고 자신의 문화를 보존할 능력이 있다.

개인은 환경과 교류 작용하는 개방적 체계이다.

 

건강

인간이 일상 생활에서 최대한의 잠재력을 얻도록 자신의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내적, 외적 환경 내의 스트레스에 지속적으로 적응하는 것을 의미

 

환경

삶과 건강에 대한 적응은 환경과 개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각 인간은 세상을 환경 내의 개인 및 사물들과 교류 작용하는 총체적 인간으로 지각한다.

 

2. 명제

간호사-대상자간 상호작용에서 정확한 지각이 있으면 교류작용이 발생한다.

간호사와 대상자가 교류작용을 이루어 내면 목표가 달성된다.

목표가 달성되면 만족하게 된다.

목표가 달성되면 효과적인 간호가 이뤄진다.

간호사-대상자 상호작용에서 교류작용이 이루어지면 성장발달이 강화된다.

간호사와 대상자가 각각 지각하는 역할의 기대치와 역할의 수행이 일치한다면 교류작용이 일어난다.

간호사와 대상자 간에 상호 역할 갈등이 있으면 간호사-대상자 상호작용에 스트레스가 발생한다.

전문 지식과 실무능력을 갖춘 간호사가 적절한 정보를 대상자에게 전달하면 상호간의 목표설정과

  목표달성이 이루어진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