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기능저하증 (Hypothyroidism)
① 정의
갑상선의 작용↓ → 혈액속의 갑상선 호르몬의 농도↓(각 조직에서 산소소모율 감소, 신체대사 저하)
② 원인 및 위험인자
· 자가 면역 질환으로 면역계가 비정상적으로 기능하며 갑상선 손상을 입은 경우
· 요오드 방사선 치료를 한 경우
· 갑상선 기능 항진증에 대한 수술을 받은 경우
· 갑상선 자극 호르몬 분비하는 뇌하수체 분비선의 활성이 감소된 경우
· 갑상선 기능을 저하시키는 리튬과 같은 약물을 복용한 경우
· 비만증, 60세 이상의 노인인 경우
· 여성의 경우 많다.
③ 증상
- 피부 및 모발 : 점액수종의 소견을 보임. 피부가 건조하며 거칠고 두꺼워지고 안면 눈 주위가 부석부석해 지고 부종이 있는 피부 부위에 non-pitting 부종의 소견을 보인다. 간혹 양쪽 볼 부위가 상기된 소견도 나타나며 혈중 카로틴의 증가로 피부색이 황색을 띄우기도 한다. 피부의 조직검사 소견에서 mucopolysaccharide나 hyaluronic acid 및 chondroitin sulfate의 다량 침착을 볼 수 있다. 손톱은 얇아지고 잘 부러진다. 또한 점액수종 환자의 머리털은 거칠고 잘 부서지며 숱이 적어진다. 특히 눈썹의 외측부 1/3부위가 특징적으로 잘 소실된다.
- 심혈관계 : 맥박수가 느려지고 심근 수축력이 감소된다. 심전도상 저전위 소견을 보이며 심낭삼출액이 생기고 드물지만 심기능부전도 올 수 있다.
<갑상선 기능저하증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나 실제로 허혈성 심질환의 빈도가 더 높아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갑상선 기능저하증 환자가 협심증등 허혈성 심질환이 있는 경우는 갑상선 호르몬 치료를 단계적으로 조심스럽게 시행하여야 한다. 임상증상 및 심전도를 확인하면서 25μg씩 1-4주간격으로 증량하면 대개의 환자가 심장질환이 악화되지 않으면서 갑상선기능을 정상으로 회복시킬 수 있으나 일부 환자에서는 심장질환이 악화되는 경우도 있다. 갑상선 기능저하증에서는 CPK, LDH, GOT등이 상승될 수 있으므로, 심근에서 유래된 효소인지를 동종효소시험 (isoenzyme study)을 통해 확인하여야 한다.>
- 혈액학적 변동 : 흔히 빈혈이 동반되나 헤모글로빈 9이하의 심한 빈혈은 드물고, 대개 정적구 정색소성 빈혈의 소견을 보임. 전반적인 식사량 감소로 철분, 엽산 결핍이 동반될 수 있으며 혈액응고 인자 이상으로 월경과다가 발생, 이로 인해 철결핍성 빈혈이 올 수 있다.
- 신경계 : 다양한 신경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여러가지 신경과 질환으로 오진될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가장 흔한 증상은 말초지각이상 (paresthesia)으로 특히 팔목터널 증후군 (carpal tunnel syndrome) 이 잘 올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은 갑상선 호르몬 치료로 잘 회복된다. 간혹 소뇌성 운동실조( ataxia) 소견도 나타날 수 있다. 때로 급성 정신병성 장애가 나타날 수 있으며 점액수종의 진단을 놓치는 경우에 정신과적 질환으로 오진될 수 있다. 무력감 및 우울한 기분 상태를 느끼게 되며 사고 과정의 지연 및 기억력의 감퇴를 느끼기도 한다. 한편 초조감 및 편집증이나 환각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 호흡기 : 늑막 삼출액이 고일 수 있으나 호흡곤란이 올 정도로 심한 경우는 드물다. 호흡기 근육의 점액수종변화가 올 수 있으며 호흡중추는 저산소혈증이나 고탄산혈증에 대한 반응이 모두 감소되어 호흡저하 및 고탄산혈증이 나타날 수 있다.
- 소화기 : 대부분의 환자에서 식욕이 줄어듬에도 불구하고 체중이 늘어난다. 이러한 체중증가는 수분 축적에 의한 부종 및 조직내 mycopolysaccharide 침척에 의한다. 장운동이 감소되고 변비가 잘 생기며 복수가 생길 수도 있다.
- 근육 및 골격계 : 근육의 동통 및 강직감 (stiffness)이 흔히 나타나며 건반사의 이완기가 연장되는 소견을 보인다(hungup reflex). 근조직검사를 시행해 보면 근섬유에 부종소견이 있고 점액성 침착물이 근 섬유사이에 나타난다.
또한 갑상선 호르몬은 사춘기이전의 골격계의 성장 및 발육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소아에서 갑상선 기능저하증은 골단이형성증 (epiphyseal dysgenesis)을 초래하여 성장장애가 생기고, 골연령이 생활연령(chronological age)보다 저하된 소견을 보인다.
- 생식계 : 소아의 갑상선 기능저하증은 사춘기를 지연시키며 여성에서는 배란장애 및 불규칙한 월경이나 월경과다 (menorrhagia) 증세를 나타내게되며, 뇌하수체의 LH 분비 감소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남성에서는 핍정자증(oligospermia)이나 발기불능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④ 치료
· 갑상선 호르몬을 보충해 줌으로써 치료될 수 있음
· 치료의 목적은 신체 기능에 충분한 갑상선 물질을 제공
· 갑상선 호르몬을 어느정도 공급해주어야 하는가를 알기위해 수개월간의 의학적 측정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