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심방 세동(Atrial Fibrillation)

P0R0RI 2020. 10. 7. 19:11
반응형

 심방이 규칙적으로 뛰지 않고 심방의 여러 부위가 무질서하게 뛰면서 분당 400~600회의 매우 빠른 파형을 형성하고 이로 인해 불규칙한 맥박을 형성하는 부정맥

심방세동은 심장의 펌핑의 저하를 가져오며 이로 인해 심장 내 혈괴가 증가하고 이 혈괴는 신체의 모든 곳으로 이동하며 터질 수 있다. 이것이 뇌로 가면 뇌졸중의 원인이 된다.

1. 증상

 1) ventricular rate elevation (palpitation) 분당 140~160회 이상

 2) chest pain/discomfort

 3) symtom of heart failure : weakenss, light-headedness, dyspnea

 4) some people with atrial fibrillation have no symtoms at all.

 

2. 병태생리

 발작성(Paroxysmal) 심방세동은 특별한 원인 심장질환이 없이 정신적인 스트레스, 격심한 운동, 수술, 급성 알코올중독 및 자율신경계 이상 증이 흔한 원인인 반면 지속성(persistent)은 고혈압, 판만 질환, 심근 허혈, 심근증, 심부전, 선천성 심질환 및 만성 폐질환등이 원인이 된다. 갑상선 기능 항진증은 처음 발생형 심방세동의 중요한 원인의 하나이다. 원인이 되는 기저 질환이 없는 경우를 고립성 또는 일차성 심방세동으로 분류한다.

  심방세동의 심전도 소견은 매우 빠르고 불규칙적인 세동파가 분당 350~360회로 나타나며 QRS는 분당 100~160회로 매우 불규칙적인 것이 특징이다.

- 심방의 곳곳에서 제멋대로 흥분이 발생하기 때문에 P wave 가 뚜렷하지 않음

- RR interval 이 불규칙

- QRS파에 전혀 규칙성이 없다

 

3. 할수 있는 치료

 2가지 중요한 치료로 첫째는 심장 펑핑을 개선하는 것이고, 둘째는 피를 묽게 해서 stroke을 예방하는 것이다.

- 베타 차단제와 칼슘 길항제 : 심장 박동을 느리게 한다.

- 와파린과 아스피린 : 피를 묽게 하는 약물로 와파린은 stroke을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약물이나 출혈의 위험이 있어 주의를 요한다.

- 전기적 심장율동전환(cardioversion) : 증상이 심한 환자를 정상박동으로 회복시켜주는 장치이다. 부정맥 치료제와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Sync 심전도의 R wave를 인지하여 peak R wave로부터 10초 후에 전기방전)

그 외에 CAG를 통해 사람에 따라 심방세동을 개선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