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절개환자의 관리
기관 절개 후의 관리 |
기도분비물의 흡인(suction)시 주의점 |
캐뉼라의 교환 |
●캐뉼라는 첫 2~3일간은 교환하지 않음.
●이중 캐뉼라인 경우 첫 3일간은 2~3시간마다 내관을 교환함
●기관지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습기로 충분한 습도를 유지함
●딱지가 생기면 1~2ml의 생리식염수를 3~4시간마다 기관내로 떨어뜨림
●감염이 발생하는 경우 균배양 검사를 시행하고 적절한 항생제를 투여함
● 기관절개부위가 아물어서 피부가 기관사이에 track이 형성될 때(육아조직 : granulation tissue) 까지는 특별히 무균적으로 다룸 |
●suction은 소독된 카테터를 사용하도록 하며, 10초 이상 경과되지 않도록 함
●흡인은 교차감염과 기관지 손상을 증가시키므로 청진상 분비물이 많거나, 호흡곤란이 있을 때에 적절히 시행함
●흡인은 청결장갑을 끼고 시행하며, 흡인시마다 새 장갑으로 교환함.
●흡인카테터는 멸균된 것을 사용하도록 하며, 카테터는 매번 새것으로 교환하여 사용함
●다재내성을 가진 환자의 흡인 카테터는 재사용하지 않고 일회만 사용 후 적출함
●흡인기의 배액통은 멸균, 소독된 것으로 사용하여야 하며, 흡인물의 색, 농도 등을 관찰하여 기록함
●흡인기 배액통의 소독을 위하여 락스와 물을 1:100으로 희석한 통애 30분 이상 침적함 |
●손을 씻은 후 무균법으로 세트를 개봉하고 절개부위 주변을 방포로 덮음
●캐뉼라를 제거함
●필요시 분비물을 제거함
●새캐뉼라를 삽입하고 단단히 고정함
●기관절개부위의 드레싱은 무균적으로 교환함
●기관절개 부위의 분비물이 많거나, 감염이 있을 때는 4~8시간마다 절개부위의 드레싱을 교환함 |
기관 절개 후의 관리 |
기도분비물의 흡인(suction)시 주의점 |
캐뉼라의 교환 |
●캐뉼라는 첫 2~3일간은 교환하지 않음.
●이중 캐뉼라인 경우 첫 3일간은 2~3시간마다 내관을 교환함
●기관지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습기로 충분한 습도를 유지함
●딱지가 생기면 1~2ml의 생리식염수를 3~4시간마다 기관내로 떨어뜨림
●감염이 발생하는 경우 균배양 검사를 시행하고 적절한 항생제를 투여함
● 기관절개부위가 아물어서 피부가 기관사이에 track이 형성될 때(육아조직 : granulation tissue) 까지는 특별히 무균적으로 다룸 |
●suction은 소독된 카테터를 사용하도록 하며, 10초 이상 경과되지 않도록 함
●흡인은 교차감염과 기관지 손상을 증가시키므로 청진상 분비물이 많거나, 호흡곤란이 있을 때에 적절히 시행함
●흡인은 청결장갑을 끼고 시행하며, 흡인시마다 새 장갑으로 교환함.
●흡인카테터는 멸균된 것을 사용하도록 하며, 카테터는 매번 새것으로 교환하여 사용함
●다재내성을 가진 환자의 흡인 카테터는 재사용하지 않고 일회만 사용 후 적출함
●흡인기의 배액통은 멸균, 소독된 것으로 사용하여야 하며, 흡인물의 색, 농도 등을 관찰하여 기록함
●흡인기 배액통의 소독을 위하여 락스와 물을 1:100으로 희석한 통애 30분 이상 침적함 |
●손을 씻은 후 무균법으로 세트를 개봉하고 절개부위 주변을 방포로 덮음
●캐뉼라를 제거함
●필요시 분비물을 제거함
●새캐뉼라를 삽입하고 단단히 고정함
●기관절개부위의 드레싱은 무균적으로 교환함
●기관절개 부위의 분비물이 많거나, 감염이 있을 때는 4~8시간마다 절개부위의 드레싱을 교환함 |